식물인테리어 94

원숭이꼬리선인장 꽃이 피었어요

원숭이꼬리선인장의 꽃 피는 과정을 사진으로 알려드릴게요 원숭이꼬리선인장의 꽃 피는 과정 원숭이꼬리선인장은 올해 들인 식물입니다. 선물을 받았죠. 원숭이꼬리선인장도 꽃을 올린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올해 꽃을 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못 했는데요. 선인장답게 더운 곳을 좋아하는 모양입니다. 햇빛과 바람이 많이 드는 베란다 옆에 두었더니 꽃을 바로 올리네요. 선인장은 지금도 몇 종류 키우고 있어요. 금황환, 게발선인장, 백단선인장, 원숭이꼬리선인장까지 총 4개인데요. 금환환 빼고 꽃을 다 봤습니다. 선인장 꽃은 색깔만 조금 다를 뿐 비슷하게 생겼더라고요. 게발선인장은 진한 진달래색을 가지고 있고, 백단선인장은 주황색의 꽃을 가지고 있죠. 이번에 본 원숭이꼬리선인장 꽃은 빨간색을 가지고 있네요. 원숭이꼬리..

식물인테리어 2023.06.21

호야 꽃피는 시기와 과정 꽃대에서 봉오리를 보기까지

호야 꽃피는 시기와 호야 꽃피는 과정을 사진으로 보여드리려 합니다. 호야 꽃대가 많이 핀 건강한 모습과 봉우리를 올리는 모습도 보여드리겠습니다. 1. 호야 꽃피는 시기 호야 꽃피는 시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정해 놓은 시기와 순서는 없는 것 같습니다. 호야 종류와 개수가 적을 때는 따뜻한 봄에 꽃을 올리고 끝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금은 호야 꽃 피는 시기를 딱 어느 계절이다라고 말씀드리기 어려울 것 같아요. 폭염주의보가 내린 이 시기에도 호야가 꽃대를 올리고 꽃을 피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저희 집에 있는 호야들은 서로 돌아가면서 꽃대를 만들고 올리는 중이랍니다. 특히 호야 마틸다가 꽃대를 미친 듯이 올리고 있는데요. 이렇게 호야꽃대가 풍년인 적이 없었습니다. 2. 호야 꽃피는 과정과 호야 꽃대들 호..

식물인테리어 2023.06.20

덴드롱키우기 꽃 피우기 번식 가지치기

덴드롱 키우기와 꽃을 피우기까지, 그리고 덴드롱 가지치기와 번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덴드롱 키우기와 가지치기 덴드롱은 저희집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 중 하나입니다. 덴드롱의 수명은 벌써 20년이 지나고 있는데요. 저희 아버지가 키우는 식물입니다. 이름도 모르던 식물의 꽃이 너무 예뻐 주위 분들이 참 탐을 내던 아이였습니다. 설마 이렇게 오래도록 저희 가족과 함께 할 줄은 생각도 못했어요. 우선 덴드롱 키우기는 굉장히 쉽습니다. 까다로운 덩쿨 식물들도 많은데, 이 아이는 정말 순둥이거든요. 하지만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베란다에서 덴드롱 키우시는 분들은 날씨가 쌀쌀해지기 시작하는 가을말에는 꼭 덴드롱을 실내로 들이셔야 합니다. 덴드롱은 덥고 따뜻한 건 좋아하지만 추위에는 굉장히 약합니다. ..

식물인테리어 2023.06.19

러브체인금 키우기 하트모양 식물 꽃말 식집사의 기록

하트모양식물인 러브체인금을 키우기 하면서 느꼈던 점과, 러브체인의 꽃말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하트모양식물 러브체인금 금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식물 키우기를 좀 까다로워하는 편입니다. 이유는 성장이 느리기 때문입니다. 게 중에는 많이 까다로운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러브체인은 오리지널 외 키우지 않았는데요. 러브체인금의 실제 모습을 보고 온 후 식집사인 저의 마음이 흔들리고 말았어요. 정말 많이 생각하고 러브체인금에 대해 알아본 후 식집사인 저의 식물목록에 올렸습니다. 우선 러브체인은 하트모양식물이예요. 하트모양과 넝쿨식물이라는 장점이 있어 많은 분들이 러브체인 키우기를 하고 있는 종이기도 합니다. 저도 오리지널을 키우고 있지만, 러브체인금이 어떤지 정확히 알고 싶었어요. 우선 반년 간 러브체인금 키우..

식물인테리어 2023.05.24

희성미인 방울 구슬 세덤 꽃 국민 다육이 키우는법

희성미인을 방울세덤 또는 구슬세덤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다육꽃을 본 국민 다육 키우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방울 세덤 또는 구슬세덤이라고 부르는 희성미인 다육이 키우는법 세덤 종류들은 잎들이 통통하고, 동그란 원형에 가까운 개체를 말합니다. 그럼 희성미인이라는 다육이 키우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희성미인은 잎들이 작아서 분갈이할 때 애를 많이 먹는 종중 하나인데요. 방울세덤 또는 구슬세덤이라고 부르던 희성미인은 적심을 한다거나 자주 건드리면 알맹이처럼 작은 잎들이 금방 떨어질 수 있습니다. 희성미인의 생육 온도는 0~30℃고요. 돌나무과에 속하는 구슬세덤의 번식 방법은 잎꽂이와 자구삽목이 있습니다. 방울세덤인 희성미인의 잎이 자주 떨어진다고 고민하실게 아니라 잎들이 곧 자구번식을 하겠구나라고 긍정적으..

식물인테리어 2023.05.19

어린 도토리 상수리 나무 묘목과 잎 모양 효능

도토리나무 또는 상수리나무의 묘목과 잎 모양, 그리고 도토리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도토리나무 또는 상수리나무 묘목과 잎 따뜻한 봄에 산을 가다 보면 길 모퉁이 사이사이마다 피어있는 어린순들을 볼 수 있습니다.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그 공간에 가장 흔하게 보이는 것이 도토리나무예요. 도토리나무는 상수리 나무라고도 불립니다. 도토리나무 잎이 막 올라왔을 때의 모양은 공작야자나무를 닮은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이 도토리나무 잎들은 훨씬 커질 거랍니다. 아직은 도토리나무 묘목이 어려서 잎들이 하나같이 작네요. 아직 어린 도토리나무 묘목들이라 공작야자나무 같은 잎을 가지고 있는 거지 도토리나무는 참나무 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잎의 모양이 길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바퀴가 있는 종이죠. 어린 도토리..

식물인테리어 2023.05.18

행인플랜트 립살리스 뽀빠이 꽃

묵은 다육식물 립살리스 뽀빠이 꽃이 열렸습니다. 행인플랜트로 추천할 만큼 이쁜 노란 꽃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행인플랜트로 좋은 립살리스 뽀빠이 꽃 오랫동안 키운 다육식물 립살리스 뽀빠이가 드디어 꽃을 피웠습니다. 다른 분들이 립살리스 뽀빠이 꽃을 피우시는 것을 보면서 항상 부러웠었는데요. 겨우 몇 송이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좋습니다. 이 노란색꽃이 그렇게 갖고 싶었어요. 그리고 저도 드디어 이렇게 포스팅을 올리게 됩니다. 꽃은 분갈이를 하고 난 후 피기 시작했습니다. 립살리스 뽀빠이 중 꽃을 피운 아이는 모체였고요. 이 아이는 오래된 만큼 성숙도 있는 다육식물 개체라 할 수 있겠네요. 그 전과 뭐가 다르기에 꽃을 피웠을까를 고민해 봤습니다. 올해 립살리스 분갈이를 해주면서 흙의 비율을 높여줬던 것이 생각났어..

식물인테리어 2023.05.17

플로리다뷰티 실내가드닝 관엽식물로 필로덴드론 추천

실내가드닝으로 추천할 만한 관엽식물인 필로덴드론 플로리다뷰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내가드닝 관엽식물 필로덴드론 플로리다뷰티 가드닝이라는 말은 정원을 가꾸고 돌봄을 뜻하는데요. 정원을 가지기 힘든 현대사회에서 방 한편을 식물에게 주고 식집사로 생활하는 분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가드닝이라는 게 별건가요. 식물을 기르고 돌보다 보면 그게 다 가드닝이 되는 겁니다. 실내가드닝 식물 중 특힌 관엽식물 키우기는 바쁜 삶 속에서 힐링이 되고요. 초록색 잎은 눈의 피로를 덜어주죠. 공기정화능력도 관엽식물의 장점으로 들 수 있어요.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병충해가 적고 잎이 수려한 식물은 식집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습니다. 그 중 이번에 제가 실내가드닝 식물로 추천할 아이는 필로덴드론 플로리다뷰티인..

식물인테리어 2023.05.16

필레아페페 번식 종류 자구 키우기

필레아페페 키우기를 하다 보면 필레아페페 자구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그런 자구들을 번식시키는 방법과 페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필레아페페 키우기 필레아페페 키우기의 난이도는 하(下) 정도인데요. 손이 많이 가는 편도 아니고 병충해도 많지 않아 키우기 수월한 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그란 잎을 가진 식물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필레아페페 키우기를 추천드려요. 단점이라고 할 만한 부분이 없고요. 단, 외목대로 곧게 키우고 싶은 분들은 필레아페페 로미오이데스의 화분 방향을 바꿔가며 키우기 하셔야 합니다. 필레아페페는 햇빛이 드는 방향으로 잎뿐만 아니라 줄기까지 돌아가거든요. 그래서 때에 맞춰 화분의 방향을 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필레아페페 키우기를 하시다 보면 잎의 밑에 동그란 점이 박..

식물인테리어 2023.05.15

박태기나무 꽃 포토 밥티나무라고도 불리는 봄 야생화의 꽃말

봄 야생화 나무 중 하나인 박태기나무 꽃 포토와 꽃말을 알아보고 왜 밥티나무라고 불리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1. 박태기나무 또는 밥티나무라고 불리는 봄 야생화 나무 산책을 하던 중 진달래 색의 꽃을 달고 있던 봄 야생화 나무를 하나 발견했어요. 언뜻 마른 콩꼬투리가 보이는 듯 해 뭔가 싶어 자세히 관찰해 보았답니다. 그리고 다음 꽃이름 검색으로 나무의 이름을 찾아봤어요. 다음 꽃이름 검색으로 찾은 노란 씀바귀 민들레의 잎 차이와 꽃말 다음 꽃검색을 이용해 꽃이름 검색하는 방법과 비슷하지만 다른 민들레와 씀바귀꽃의 차이 그리고 꽃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다음 꽃검색을 이용해 꽃이름 검색을 해보자 봄이라는 계절이 raramango.tistory.com 알알히 진달래색의 꽃 봉오리를 달고 있던 이 나무의 ..

식물인테리어 2023.05.13